|
|
|
 |
본원사보
|
 |
|
제 목 |
 |
[2002.6] 고혈압 |
|
작성자 |
 |
차영옥 |
|
작성일 |
 |
2002.06.11 |
|
|
작 성 일 : 2002.06.11 |
|
고혈압은 관동맥 질환, 심부전 및 외혈관 질환을 포함한 주요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뿐 아니라 성인의 20%정도에서 발병하는 흔한 질환으로 고혈압 환자의 발견이나 치료 및 예방은 환자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외혈관 질환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이 우리나라 사망원인중 가장 흔하다는 사실은 고혈압을 적극적으로 조절하면 짧은 시간내에 사망율 감소와 같은 상당한 가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고혈압은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심한 합병증을 초래하며 표적 장기 손상을 유발하면 악성 고혈압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은 심각한 수명의 단축을 초래하고 장애를 유발하게 되므로 조기의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수축기 혈압은 노인에서 증가되고 노인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수축기 혈압의 관리에 의한 심혈관 질환의 절대적인 감소는 노인에서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고혈압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인 사람, 짜게 먹거나 술을 많이 자주 먹는 사람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성격을 가진 사람은 생활습관을 더욱 철저히 개선해야 합니다.
생활습관 개선 중에서도 염분 섭취량의 감소와 체중조절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고혈압 예방·관리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생활요법은 식이요법과 금연·금주, 체중조절, 규칙적 운동, 이완요법 등이 있습니다.
식이요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싱겁게 먹고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는 한편, 해조류, 야채 등을 많이 먹는 것입니다.
규칙적 운동은 고혈압 예방·치료는 물론, 체중을 감소시켜 심장병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속보,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같은 유산소 운동을 1회 30~45분 정도로 주 3~5회 할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운동시 숨이 차거나 가슴이 아픈 경우나 혈압이 아주 높으면 꼭 의사와 상의한 뒤 해야 합니다. 금연은 당연하며, 스트레스는 즉시 풀어야 합니다.
바람직한 고혈압 치료는 `평생관리라는 생각을 가지고 꾸준히 약물치료와 운동, 금연, 식이요법 등의 생활요법을 병행하는 것입니다. |
|
첨부파일 |
 |
없음 |
|
|
 |
|
|
|
|
|
|
|
|